2023년 정부에서 발표한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34세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위해 목돈마련을 지원하는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 매달 70만 원 한도 내 자유 납입하여 5년 만기로 5천만 원을 만들어 갈 수 있도록 정부에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를 이용할 수 있는 조건이 되시는 분들은 놓치기 아까운 정보이므로 아래 소개해 드리는 내용을 잘 살펴주세요.
1. 2023년 6월 출시되는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는 윤석열 정부의 공약으로 시작되어 정책이 추진중이며, 2023년 3월 9일 금융위원회에서 중간발표를 실시했습니다. 이번 발표에서 출시예정일, 조건 등 이 제도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을 공지했습니다.
출시 예정일 | 2023년 6월 |
월 납입금 | 40~70만원 |
최대 만기 | 5년 |
신청조건 | 만19세~34세 |
개인소득 | 개인 총 급여 7,500만원 이하 (6,000만원 이하만 정부기여금 지급) |
가구소득 |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
혜택 | 이자 비과세, 정부지원 최대 6% 이자, 만기시 소액 장려금 |
2. 신청조건은 만 19세~34세 청년을 대상으로 합니다.
이 제도는 앞서 설명드렸듯이 청년들의 사회, 경제활동 지원을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따라서 만 19세부터 만 36세까지 연령에 해당하는 분들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남성의 경우 군 복무를 마친 분들은 최대 6년까지 인정됩니다. 즉 만 36세까지도 신청이 가능하므로, 본인이 애매한 상태라면 정확한 가입 가능여부 확인을 위해 은행에 방문하여 상담이 필요합니다.
3. 소득조건은 개인 연 7,500만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여야 합니다.
연령조건뿐 아니라 소득조건도 있습니다. 연간 총 7,500만 원 이하의 소득이 있는 분만 해당됩니다. 이때 중요한 점이 있습니다. 본인이 정부 지급금을 받을 수 있는 상태인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연 6,000만 원 ~ 7,500만 원 구간의 소득이 있는 분이라면 정부의 지원금을 받지 못하게 됩니다.
가구소득은 중위 180% 이하여야 합니다. 비교가 되는 청년희망적금은 가구소득을 보지 않기 때문에 문제가 있었는데, 이를 보완한 점이 되겠습니다.
중위소득이란 소득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중간에 위치하는 가구 소득을 뜻합니다. 그래서 보건복지부는 매년 중위소득을 기준을 발표하며 180% 이하 라는 뜻은 100%가 중간이라면 그보다 80% 정도 더 많은 소득이 있는 가구를 의미합니다.
구 분 | 100% | 180% |
1인가구 | 207.8만원 | 373만원 |
2인가구 | 345.6만원 | 622만원 |
3인가구 | 443.5만원 | 798만원 |
4인가구 | 540.1만원 | 972만원 |
5인가구 | 633.1만원 | 1,139만원 |
6인가구 | 722.8만원 | 1,300만원 |
중위소득 180%의 기준은 2인 가구의 경우 약 622만원, 3인가구의 경우 약 798만 원, 4인가구의 경우 약 972만 원입니다. 평균소득 언저리에 있는 분들이라면 대부분 소득 자격조건을 만족하실 듯합니다.
4. 소득에 따라 정부 지원금이 달라져
이 제도가 일반 적금보다 좋은 이유는 정부 지원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소득에 따라, 그린고 월 납입 금액에 따라 정부에서 지원하는 금액이 달라지므로 잘 확인하고 본인에게 유리한 금액을 가입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개인소득이 연간 총 급여 2,400만 원 이하인 분들은 정부 기여금을 최대(6%)로 받을 수 있습니다. 이때 매월 기여금 한도가 있는데, 2.4만 원입니다. 즉, 매 월 2만 4천 원을 정부 기여금으로 받는 셈입니다.
예를 들어 매 월 최대금액인 70만 원씩 5년간 납입한다고 합니다. 그러면 5년 만기 시 원금은 4,200만 원이 됩니다. 은행의 금리가 만약 5%라면 이 제도의 혜택으로 비과세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이자만 약 530만 원이 됩니다. 여기에 정부 지원금 약 144만 원을 추가 지급받습니다. 최종적으로, 내가 수령할 수 있는 금액은 약 4,877만 원입니다.
4. 청년희망적금과 비교하여 본인에게 맞는 적금을 선택
청년도약계좌와 비슷한 제도가 있습니다. 바로 청년희망적금입니다. 이 두 제도는 비슷하지만 약간의 차이점이 있습니다. 표로 비교해 보겠습니다.
청년희망적금 | 청년도약계좌 | |
연령조건 | 만 19세 ~ 만34세 | 좌 동 |
개인소득 | 3,600만원 | 7,500만원 (6,000만원) |
가구소득 | 제한없음 | 중위소득 180% 이하 |
월 납입금액 | 최대 50만원 | 40만원 ~ 70만원 |
정부지원 | 1년차 2%, 2년차 4% | 3~6% |
만기 | 2년 | 5년 |
결론 | 월 50만원씩 2년 만기 시 약 1,300만원 | 월 70만원씩 5년 만기 시 약 5,000만원 |
물론 매 월 70만 원의 적금을 5년간 유지하는 일 자체가 쉬운 일이 아닙니다. 5년은 그리 짧은 시간이 아닙니다. 체감상으로는 단기가 아닌 장기에 해당됩니다.
그러므로 5년 이상의 안목으로 장기간 자금사용계획을 먼저 수립하신 뒤 가용한 여유자금으로 적금을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너무 큰 욕심을 부리기보다는 본인이 감당할 수 있는 적금계획을 먼저 수립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2023.06.11 - [경제 지식성장] - 한전 에너지캐쉬백 : 신청대상, 방법, 지급기준 (+에너지절약 팁)
'경제 지식성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근로장려금 신청 기간, 대상, 방법 총정리 (0) | 2023.03.31 |
---|---|
실리콘밸리은행 사태, 블랙먼데이와 리먼사태의 반복? (0) | 2023.03.19 |
금리인상 원인 분석 통한 금리하락 시기 알아보기 (0) | 2023.01.21 |
DSR 적용받지 않는 특례보금자리론 총정리 (원문포함) (0) | 2023.01.18 |
LTV, DTI, DSR 총정리! 주택담보대출 알아보기 (0) | 2023.01.18 |
댓글